AI 실사 이미지 플랫폼, Avadot 알아보기

hyej****
2023-11-14
조회수 2564

[트렌드 아카이브] AI 요즘

 — 스테이블 디퓨전을 기반으로 한 AI 실사 이미지 생성 플랫폼. 아바닷과 함께 웹 브라우저로 간편하게 이미지를 생성하고 공유하세요. 

                                                         


혹시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미드저니 (Midjourney), 달리(Dall-E)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세 가지 모두 텍스트를 입력하면 생성형 AI가 이미지를 멋지게 생성해 준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죠? 이미지 생성 AI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다면 꼭 들어봤을 이름입니다. 그 중 스테이블 디퓨전은 다른 곳과는 다르게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는 점으로도 주목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스테이블 디퓨전을 활용한, AI 실사 이미지 생성 플랫폼 아바닷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Edited by. AI 실사 플랫폼 𝑨𝒗𝒂𝒅𝒐𝒕



아바닷(Avadot)이란?

아바닷은 스테이블 디퓨전 생성형 AI 모델을 사용하여, 창의적인 생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쉽고 빠르게 극 실사의 가상 인물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프로그램 설치를 필수로 필요로 하는 몇몇 생성형 AI 서비스와는 다르게 아바닷은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브라우저의 종류와 상관없이 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 있어서 접근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바닷을 통해 이미지를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지,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아바닷(Avadot) 사용 방법

이미지 생성 AI를 사용해 보신 분들이라면 아바닷 역시 간단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본 적이 없는 분들도 간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아바닷 사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마 몇 번 사용해 보시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거예요.

먼저 실사 이미지 생성 AI 플랫폼 아바닷(Avadot)으로 이동해 주세요. 아바닷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한데요.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누르고, [로그인하러 가기]를 클릭해 주세요. 간편하게 구글 계정으로 회원 가입을 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계속하기]를 클릭하여 카카오 계정이나 네이버 계정으로 가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원하는 계정을 선택하신 뒤 이메일, 닉네임, 이름 등의 프로필을 작성해 주세요. 본인 인증의 경우 건너뛰기를 해도 괜찮지만, 인증을 완료할 경우 아바닷 서비스를 더욱 원활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을 마치면 50 크레딧이 주어집니다. 그럼, 아바닷 로그인과 함께 주어진 크레딧을 활용하여 본격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해 볼까요?

아바닷에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아바닷 홈에 공개된 이미지를 레퍼런스로 활용하는 방법, 아바닷에 등록된 모델을 활용하는 방법, 아바닷에 등록된 로라를 활용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프롬프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프롬프트란 생성형 AI가 문장, 이미지 등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뜻하는데요. 이미지 생성형 AI를 처음 경험해 보는 분들에겐 프롬프트를 직접 작성하고, 이미지 생성에 필요한 생성 정보 데이터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먼저 직접 프롬프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손쉽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고, 프롬프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레퍼런스 사용하기

[이 레퍼런스 사용하기]는 이미지 원작자가 생성 정보를 아바닷에 공개했을 때, 해당 이미지의 생성 정보가 자동 완성된 상태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레퍼런스 이미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볼까요?

아바닷 홈에서 공개된 이미지를 바로 볼 수 있는데요. 그중 가장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우측 상단에 있는 [이 레퍼런스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겠습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프롬프트 창에 자동으로 해당 이미지의 프롬프트가 입력되어 있고, 우측의 설정 칸에 설정값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필요에 따라 우측 설정 칸의 모델, 로라, 이미지 사이즈 등의 생성 정보 데이터를 수정해 주시고, 설정을 마치셨다면 [Generate]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생성해 주세요! 저는 따로 수정 없이 입력된 생성 정보대로 이미지를 생성하겠습니다.

아바닷 홈에서 고른 기존 이미지를 레퍼런스로 한 이미지 2장이 생성되었습니다!


  • 이 모델 사용하기

[이 모델 사용하기]는 생성 모델을 선택했을 때 보이는 첫 번째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 정보가 자동 완성된 상태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생성 모델이란 간단히 말해서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기본 그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모델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해 볼까요?

아바닷의 모델 탭으로 이동하여 가장 마음에 드는 그림체를 선택한 뒤 우측 상단에 있는 [이 모델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겠습니다. 앞서 [이 레퍼런스 사용하기]를 활용했을 때와같이 프롬프트 창에 프롬프트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우측 설정 칸의 설정값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혹시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하고 싶은 생성 정보 데이터가 있다면 우측 설정 칸에서 직접 원하는 값을 선택해 주시고, 설정을 마치셨다면 [Generate]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생성해 주세요! 저는 이번에도 역시 따로 수정하지 않고 입력된 생성 정보 그대로 생성해 보겠습니다.

기존 생성 모델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2장이 생성되었습니다! [이 모델 사용하기] 기능을 활용할 때, 로라를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로라를 선택하면 생성 AI로 하여금 최적의 학습률을 찾게 해줌으로써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더 가까운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번에 저는 로라를 따로 적용하지 않았지만, 여러분은 로라 적용을 통해 이미지에 세부적인 디테일을 추가해 보시길 바랍니다!


  • 이 로라(LoRA) 사용하기

[이 로라 사용하기]는 로라를 선택했을 때 보이는 첫 번째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 정보가 자동 완성된 상태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로라(LoRA)란 스테이블 디퓨전 생성 모델을 세부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학습 기법을 뜻하는데요. 쉽게 말해 로라 적용을 통해 이미지에 세세한 스타일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번엔 로라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해 볼까요?

아바닷의 모델 탭으로 이동하여 가장 마음에 드는 스타일의 로라를 선택한 뒤 우측 상단에 있는 [이 로라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겠습니다. 앞서 함께 활용해 봤던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프롬프트 창에 프롬프트가 자동으로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혹시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하고 싶은 생성 정보 데이터가 있다면 우측 설정 칸에서 직접 원하는 값을 선택해 주세요.

여기서 유의할 점은 로라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경우, 생성 모델을 필수로 선택해 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델은 로라 없이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로라의 기능은 모델에 디테일적인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로라는 모델 없이는 작동할 수 없습니다. [이 로라 사용하기]를 활용할 때 별도로 생성 모델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majicMIX_realistic이 자동으로 선택되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설정을 마치셨다면 [Generate]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생성해 주세요!

기존 로라를 바탕으로 한 이미지 2장이 생성되었습니다!


  • 프롬프트 직접 입력하기

마지막으로 프롬프트를 직접 입력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미지 생성 AI를 사용하는 것이 처음이라면 프롬프트를 직접 작성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프롬프트를 영어로 작성해야 한다는 점이 이미지 생성 AI 사용에 큰 진입장벽이 될 수 있는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프롬프트 작성 팁을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문장의 형태보다는 단어를 쉼표로 나눠서 표현한다고 생각해 주세요. 예를 들어서 “목걸이를 걸고 있는 긴 머리 소녀”의 이미지를 생성하려고 할 때, A Long-haired girl with a necklace와 같이 문장의 형태가 아닌 1girl(소녀), long hair(긴 머리), necklace(목걸이)처럼 키워드를 나열하여 적어주는 것입니다. *단 자세한 인물의 행위나 전체적인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 AI는 이미지를 생성할 때 프롬프트 앞쪽에 있는 단어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키워드일수록 앞쪽에 배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목걸이를 걸고 있는 긴 머리 소녀”의 경우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소녀겠죠? 이 경우 girl이라는 단어를 프롬프트 제일 앞에 둬야 합니다.

✔︎ 가중치를 높이고 싶은 요소에 **괄호()**를 쳐주세요. 그리고 괄호 안에 0.1~1.8까지의 가중치를 적어줍니다. 1girl, (blond hair, white skin:1.2)의 경우 소녀의 머리카락이 금발이고 피부가 하얗다는 점에 1.2배의 가중치를 두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괄호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중요한 키워드라는 의미이며, 보통은 최대 3개까지 사용합니다. 1girl, ((blond hair)), (white skin)의 경우 AI는 금발이라는 점을 더 중요하게 받아들여서 금발에 초점을 둔 이미지를 생성할 것입니다. 반대로 대괄호[]를 통해 키워드의 가중치를 줄여줄 수도 있습니다. 실사 및 높은 퀄리티를 위해 (masterpiece), (best quality, ultra high resolution) 등의 키워드를 활용해 주세요!

프롬프트 작성이 막막하다면 아래의 프롬프트 참고 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AIPRM          PromptHero          
Prompt Search

이제 아바닷 홈의 좌측에서 [생성하기]를 클릭한 뒤 프롬프트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아바닷의 경우 프롬프트 창에 번역하기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번역이 필요할 경우 프롬프트 입력 창 아래에 [번역 사용하기]를 클릭하여 번역 기능을 활성화해 주세요. 영어→한국어 번역과 한국어→영어 번역이 모두 가능합니다.

프롬프트를 모두 작성했다면 이제 우측 설정 칸에서 자세한 세팅을 해볼까요? 우측 설정 칸에 생성 이미지에 쓰일 모델 및 로라, 이미지 사이즈, 이미지 생성 개수, Negative Prompt, Sampling Steps, Sampling Method, CFG 스케일, 시드 값 등을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세션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볼까요?

먼저 생성 모델을 선택하겠습니다. 생성 모델이란 앞서 설명해 드렸듯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기본 그림체입니다. [생성 모델 더 보기]를 클릭하면 모델 이미지를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원하는 모델을 선택해 주세요! 다음으로 로라를 선택하겠습니다. 앞서 말씀해 드렸듯이 로라 설정을 통해 생성 모델에 세부적인 스타일을 추가해 줄 수 있습니다. 로라는 단독 사용이 불가능하니 꼭 모델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모델과 로라 설정을 마치셨다면 이미지 사이즈를 선택해 주세요. 아바닷에서는 512*512와 512*768 사이즈의 이미지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같은 비율의 더 큰 사이즈 이미지 제작을 원하실 경우, 이미지를 생성한 뒤 [UPSCALE]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이제 우측 설정 칸 하단의 [고급 설정]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고급 설정]을 클릭하면 이미지 사이즈 선택하기 아래로 6가지 설정값이 뜨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이미지 생성 개수를 선택해 주세요. 별도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총 2개의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 Negative Prompt
Negative Prompt에는 이미지에 표시하고 싶지 않은 내용을 적어주면 됩니다. 아바닷에는 최악의 퀄리티, 낮은 퀄리티, 왜곡된 이미지, 추가 손가락, 선정적 이미지 등의 네거티브 프롬프트가 자동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확인 후 더 빼고 싶은 요소가 있다면 네거티브 프롬프트에 작성해 주세요.

✔︎ Sampling Steps
Sampling Steps란 AI가 무작위 노이즈에서 프롬프트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까지 몇 번의 단계를 거칠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Sampling Steps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더 긴 생성 시간과 더 많은 크레딧을 필요로합니다. 단, Sampling Steps를 높게 설정한다고 반드시 더 높은 품질의 이미지가 나오는 것은 아니라는 점 참고 바랍니다!

✔︎ Sampling Method
Sampling Method란 이미지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말합니다. 어떤 것을 고르는지에 따라 생성 이미지의 디테일, 이미지 생성 속도 등의 차이가 생깁니다. 다만 각 Sampling Method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모두 알 필요는 없으며, 하나씩 사용해 보고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저는 아바닷의 기본 설정값인 “DPM++ SDE Karras”를 선택하겠습니다.

✔︎ CFG Scale
CFG Scale이란 프롬프트와 생성 이미지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데요. 높은 값으로 설정할수록 입력한 프롬프트에 더 가까운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겠지만, 이미지가 왜곡될 가능성 또한 높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케일을 7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 Seed
Seed 값이란 AI가 생성한 이미지에 부여되는 값으로, 이미지 생성의 시작점을 뜻하는데요. 이미지 생성 시, 시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거의 동일한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기본값인 -1로 설정할 경우, 시드 값은 무작위로 적용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설정을 모두 마쳤다면 이제 [Generate] 버튼을 클릭해서 이미지를 생성해 볼까요?

직접 입력한 프롬프트와 설정값을 토대로 이미지 2장이 생성되었습니다!

아바닷에서 총 4가지 방법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해 봤습니다. 기존 생성 정보 및 모델/로라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아바닷을 통해 생성한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과, 생성 이미지를 아바닷 홈에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업스케일(Upscale)

생성된 이미지 중 해상도를 높이고 싶은 이미지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Upscale] 버튼을 클릭합니다.

업스케일 팝업이 뜨면 원하는 Upscaler를 선택해 주세요. 총 4가지 업스케일러가 보이는데요. 하나씩 알아볼까요?

✔︎ R-ESRGAN 4x
ESRGAN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업스케일링 모델입니다. 원래 이미지의 크기를 4배(4x)로 키우는 업스케일링을 뜻하며, 뒤에 붙은 +(플러스 기호)는 더 좋은 화질을 의미합니다.

✔︎ R-ESRGAN 4x+ Anime 6B
Anime 6B라는 데이터 셋에서 학습된 R-ESRGAN 4x+모델로 애니메이션 이미지에 특화된 모델입니다.

✔︎ R-ESRGAN 2x+
원래 이미지의 크기를 2배(2x)로 키우는 업스케일링을 뜻하며, 뒤에 붙은 +(플러스 기호)는 더 좋은 화질을 의미합니다.

✔︎ R-ESRGAN 4x
원래 이미지의 크기를 4배(4x)로 키워주며, 사실적인 이미지에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모델입니다.

업스케일러를 선택하셨나요? 혹시 이미지의 퀄리티도 향상하고 싶으시다면 Image Enhance를 선택한 뒤 값을 조절해 주세요! Denoising Strength는 노이즈 제거의 강도를 뜻합니다.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원본과 동일한 이미지가 생성되며, 수치가 높을수록 노이즈가 더 많이 더해지기 때문에 원본에서 벗어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Denoising Steps는 몇 번의 디노이징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생성할 것인지에 대한 값입니다.

설정을 모두 마치셨다면 [업스케일 진행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Image Enhance 선택 여부에 따라 0.5 또는 1크레딧이 소요됩니다.

선택한 이미지의 해상도와 퀄리티가 높아졌습니다!


  • 생성한 이미지 출품하기

이제 아바닷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아바닷 홈에 공개해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출품하는 방법은 총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 방법은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바로 공유하는 것입니다.

생성한 이미지 중 출품하고 싶은 이미지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출품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출품하기]를 클릭하면 팝업이 뜨는데요. 그 안에 필요한 정보를 기재한 뒤 출품하면 됩니다.

두 번째 방법 역시 앞서 확인한 첫 번째 방법처럼 간단한데요. 먼저 아바닷 홈에서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클릭합니다. [내 작업공간]으로 이동한 뒤 [생성 히스토리] 탭을 클릭해 주세요. [생성 히스토리] 탭으로 들어오면 지금까지 제가 아바닷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 출품하고 싶은 이미지를 하나 선택하고 오른쪽 상단의 [출품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이후 과정은 첫 번째 방법과 같습니다.

출품 신청을 마친 이미지는 담당자의 심사를 거친 후 아바닷 홈에 공유됩니다.



지금까지 AI 실사 이미지 생성 플랫폼, 아바닷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아바닷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총 4가지 방법이 있었죠? 아바닷 홈에 생성 정보와 함께 공개되어 있는 이미지나 모델 및 로라를 활용하여 직접 프롬프트를 입력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과, 직접 프롬프트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생성형 AI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거나, AI로 이미지를 생성해 본 경험이 있는 분들뿐만 아니라 AI 이미지가 생소한 분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아바닷 사용 방법을 동영상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아바닷 튜토리얼 영상이 준비되어 있으니, 하단에 첨부해 놓은 영상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아바닷과 함께 원하는 이미지를 간편하게 생성해 보세요!

Edited by. AI 실사 플랫폼 𝑨𝒗𝒂𝒅𝒐𝒕



#아바닷 #avadot #AI실사이미지 #스테이블디퓨전 #생성형AI #AI이미지생성 #프롬프트작성 #AI아트 #실사이미지생성 #AI플랫폼 #웹브라우저이미지생성 #가상인물생성 #AI기술 #오픈소스AI #AI이미지공유 #이미지생성

010-6708-1246

평일 10:00 - 17:00

점심 13:00 - 14:00

휴일 토/일 공휴일

WHAT WE DO

MAGAZINE


010-6708-1246

평일 10:00 - 17:00
점심 13:00 - 14:00
휴일 토/일 공휴일

고객 문의



© 2023 Tridot Inc. All rights reserved. 

© 2023 Tridot Inc. All rights reserved.

주식회사 트라이닷(Tridot Inc.) 대표자명: 전경찬 사업자번호 : 372-81-0194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2-서울서초-2764  (사업자정보조회) 이메일 문의 : hello@tridot.io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217, 606호